비교적 최근에 나온 해킹 게임, 핵넷 입니다.
각종 의뢰를 받으며, 빅브라더를 꿈꾸는 기업과 싸우는 내용인데
자세한 내용은 게임을 진행 하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한글화과 완벽하지 않아(공식 지원이지만...) 영어로 진행 하는것을 추천 드려요.
사실상 추천이 아니라 필수에요.
한글로 설정되어 있는 분들은 메인 화면에서 'Setting' -> 'Language' -> 'English' 로 바꿔 주시면 됩니다.
'New Session'을 눌러 계정을 생성합니다.
적당한 계정명을 적으시고.. (연동되는 것이 아니니 크게 신경쓰실 필요 없어요)
비밀번호도 적어줍시다.
비밀번호를 기억해야 하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것또한 큰 의미는 없답니다.
'Confirm'을 눌러 진행해 줍시다.
이것은...! 리눅스 커널 화면과 비슷하군요.
드디어 게임 화면입니다.
대부분의 게임들이 그렇듯이 튜토리얼을 제공하네요.
같이 진행해 보겠습니다.
As of right now you are at risk! Learn as quickly as possible. Begin the tutorial sequence by pressing the continue button below.
당신은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가능한 한 빨리 배우세요. 아래의 '튜토리얼' 버튼을 눌러 튜토리얼 시퀀스를 시작하세요.
Connect to a computer by typing "connect [ip]" in the terminal - or by clicking on a node on the network map. Connect to your own computer on the map now by clicking the green circle.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터미널에서 "connect [ip]"를 타이핑 하거나, 네트워크 맵의 '노드(초록색)'를 클릭하세요.
눼이눼이~ 시키는 대로 해보겠습니다.
게임상의 '내 컴퓨터'에 접속된 화면입니다.
The first thing to do on any system is scan it for adjacent nodes. This will reveal more computers on your map that you can use. Scan this computer now by pressing the Scan Network button on the display module.
모든 시스템에서 수행할 첫번째 작업은 인접 노드를 검색하는 것 입니다. 네트워크를 스캔하려면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Scan Network' 버튼을 누르세요.
예 눌러보겠습니다.
다른 노드가 나타났습니다!
That should be all you'll need from your own server for now. Disconnect From Your Machine.
당신의 서버에서 할 작업은 이게 끝입니다. 시스템의 연결을 끊으세요.
'Disconnect' 버튼을 눌러주면 외부 컴퓨터와 연결하라는 튜토리얼 메세지가 나타납니다.
방금전 검색한 새로운 노드를 클릭해 주세요.
드디어..! 드디어!! 터미널 화면이 나왔습니다 ㅠㅠ
This VM's Terminal module has been activated. This will be your primary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interacting with nodes. A command can be run by typing it out and pressing enter. A computer's security system and open ports can be analyzed using the probe(or "nmap") command. analyze the computer you are currently connected to.
[요약] 원격 서버의 보안 시스템을 보고 포트를 오픈하려면 'probe' 또는 'nmap' 명령어를 사용해 원격 서버를 스캔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게임 중후반에 GUI 없이 터미널만 이용해 여러분의 시스템을 복구시켜야 하는 이벤트가 생깁니다. 초반부터 터미널에 익숙해지시는걸 추천드려요.
제가 리눅스 서버 관리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nmap' 명령어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GUI 화면과 CUI 화면입니다.
현재 이 서버에 오픈된 포트는 80, 25, 21, 22 이며,
크랙을 위해 오픈이 필요한 포트는 0개 입니다. 즉 'PortHack' 만 사용해서 이 서버를 뚫을 수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터미널에서 'port' 를 타이핑 후 'Tab' 키를 누르면 'PortHack'을 자동으로 완성시켜 줍니다. (다른 명령어들도 마찬가지니 꼭 기억하세요!)
그럼 'PortHack' 을 실행해 보겠습니다.
화면 내용을 보아하니 '딕셔너리 어택'이네요. 자세한 내용은 직접 찾아보시기 바래요 ㅎㅎ
포트크래킹이 끝난 모습입니다. (다른 보안 요소가 없음으로) 성공적으로 원격 서버의 'root' 권한을 입수했습니다! 짝짝!
튜토리얼 내용을 보아하니 여기에 연결된 다른 원격 컴퓨터를 또 검색 하라는군요.
터미널에 'scan' 을 입력해 보겠습니다.
뭣이..!! 결과가 없으니 파일 시스템을 조사해 보라고 합니다.
저는 터미널을 선호하기 때문에 'ls' 명령어를 입력해 보겠습니다.
요로코롬 원격 서버의 파일 시스템이 출력됩니다.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 /home : 리눅스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
- /log : 시스템의 로그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 /bin : 리눅스의 실행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 /sys : 시스템 커널 등 리눅스 구동에 필수적인 파일이 포함된 디렉토리
튜토리얼: bin 폴더로 가세요.
화면을 클릭해도 상관없지만 터미널에서 'cd /bin'을 입력해 보겠습니다.
리눅스 상에서는 디렉토리명 앞에 / 를 붙이면 반드시 루트 디렉토리 상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디렉토리가 /log 디렉토리일 지라도 'cd /bin' 을 입력하시면 루트 디렉토리의 'bin'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bin 디렉토리로 성공적으로 이동하면 'config.txt' 파일이 존재합니다. 제가 한번 열어보겠습니다.
별 내용은 없네요.
튜토리얼: '..' 와일드 카드는 '뒤로' 또는 '상위'를 의미합니다.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하려면 "cd .."을 사용하세요.
'cd ..'을 입력하여 상위 디렉토리로 가보겠습니다.
Move to the log folder. "cd [FOLDER NAME]"
"cd [디렉토리 이름]"을 입력해서 로그 디렉토리로 이동하세요.
가 보겠습니다.
!! 지금까지 제가 무슨짓을 했는지 모두 기록되어 있군요.
꼬리가 길면 잡히겠죠? 삭제 해 줍시다.
특정 파일을 삭제 하기 위해서는 "rm [파일명]",
모든 파일을 삭제 하려면 "rm *" 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인게임에서 기본적으로 모든 로그를 삭제하면 되기 때문에 "rm *"을 이용하겠습니다.
모든 로그 파일을 삭제했습니다.
이제 원격 서버와의 접속을 끊어야 합니다. "dc" 명령어를 이용해 원격 서버와의 접속을 끊을 수 있답니다. (disconnect의 약자)
튜토리얼: 튜토리얼 프로세스를 종료하면 클리어
네, 그럼 튜토리얼 프로그램을 종료해 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리눅스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아이디를 검색하는 명령어는 "ps" 입니다.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Tutorial v16.2' 프로그램이 프로세스 ID '88'로 실행되고 있군요.
"kill 88" 로 튜토리얼 프로그램을 종료 해보세요!
드디어 길고 긴 튜토리얼이 끝났네요!
우측 상단에 보시면 (본격적인 게임의 시작을 알리는) 메일이 도착 했습니다.
CUI 환경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뭔가 복잡해 보일 수 있는데,
차근차근 따라하시면 익숙해지니까 포기하지 마시고 함께 즐겨봐요~
댓글